1. 여름철 차량화재, 왜 더 자주 발생할까?
여름철에는 기온 상승과 더불어 햇볕에 달궈진 차량 내부의 온도가 60~80도 이상까지 치솟습니다. 이처럼 극한의 온도 환경에서 차량은 작은 고장이나 실수가 곧 대형 화재로 번질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.
🚗 대표적인 차량 화재 원인 6가지
- 엔진 과열: 냉각수 부족, 부동액 열화, 오래된 벨트류로 인해 냉각 기능 저하 → 과열 유발
- 전기계통 합선: 여름철 고온에 절연 피복이 녹거나 파손되면 누전 발생 → 스파크 유도
- 배터리 폭발: 고온에서 배터리 내부 온도 상승 → 내부가스 폭발 또는 셀 단락
- 연료 누출: 휘발유나 경유가 엔진부와 접촉 → 고온과 만나 점화
- 흡연 등 외부 화기: 꺼지지 않은 담배꽁초 차량 위 착화 → 인화성 물질과 접촉 시 즉시 화염
- 차내 위험물 보관: 라이터, 스프레이, 알코올류 보관 시 고온에 폭발
2. 여름철 차량화재 발생 시 실전 대처법
화재는 생각보다 빠르게 번지고, 차량 내부는 유독가스로 가득 차기 쉽습니다. 초기 대응이 생명을 좌우합니다.
🔥 내 차에서 화재 발생 시 대처법
- 즉시 정차: 갓길 또는 안전구역으로 차량 이동
- 시동 OFF: 엔진 정지 및 사이드 브레이크 체결
- 이탈: 모든 승차자는 신속히 차량에서 대피
- 119 신고: 정확한 위치와 차량 상황 전달
- 연기 흡입 주의: 수건, 마스크로 코와 입 가리기, 낮은 자세로 이동
🚨 타 차량 화재 목격 시 행동요령
- 비상등 점등, 후속 차량에 경고
- 가능 시 삼각대 설치 (주간 100m, 야간 200m 이상)
- 갓길 정차 후 도로 밖 대피
- 119에 위치·차량번호·피해상황 전달
3. 차량용 소화기, 반드시 비치해야 하는 이유
2024년 12월 1일부터는 5인승 이상 차량은 차량용 소화기 비치 의무화가 시행됩니다.
📌 관련 법령
- 『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』 개정 (2021.11.30.)
- 신규 등록 및 소유권 이전 차량 포함
- 미비치 시 과태료 부과 가능성 있음
✅ 소화기 선택 팁
- 자동차용으로 인증된 KFI 마크 확인
- 분말 소화기보단 이산화탄소 소화기(청결성 높음) 선호
- 운전석 하단 또는 조수석 앞에 고정 설치
4. 소방의 정석이 추천하는 여름철 차량화재 예방 7가지 습관
1. 정기 점검은 필수
- 냉각수/부동액 교환: 1~2년에 한 번
- 배터리 상태 확인: 열화, 누액, 단자 부식 여부 확인
- 브레이크 오일/전선 피복 상태 점검: 정비소 정기점검 활용
2. 라이터, 스프레이 등 가연물은 절대 금지
- 차량 안 온도가 80도 이상 올라가면 인화물질 폭발 위험
- 반드시 가정이나 서늘한 장소에 보관
3. 흡연은 절대 NO
- 꺼진 줄 알았던 담배꽁초가 좌석 시트, 콘솔박스 인화 사례 다수
4. 불법 튜닝은 화재 직결
- 전기장치 개조 시 전선 과열, 합선, 배선 꼬임으로 화재
- 정비소 인증 제품 사용 필수
5. 마른 풀밭 주차 금지
- 여름철 건조지역, 공터 주차 시 차량 열기와 풀의 인화가 결합 → 지면 화재로 이어짐
6. 주행 후 보닛 열기 방치 금지
- 고온의 엔진룸 방치 시, 열기 응축 → 휘발유 증발 가스 점화 위험
7. 차량용 소화기 사용법 숙지
- 사용 전 흔들기 → 안전핀 뽑기 → 노즐 화재 방향으로 조준 후 작동
- 소화기는 연 1회 이상 점검, 교체주기 준수
5. 차량화재 예방법 실천 체크리스트
점검 항목점검 주기담당자 체크
냉각수, 오일 점검 | 매월 | ✅ |
배터리 상태 확인 | 계절별 | ✅ |
차량 내 인화물 제거 | 상시 | ✅ |
차량용 소화기 비치 | 의무사항 | ✅ |
주차장소 안전 확인 | 매일 | ✅ |
배선 피복 상태 점검 | 정비소 점검 시 | ✅ |
전기장치 개조 여부 확인 | 수시 | ✅ |
6. 소방기술사 시험 대비 – 차량화재 문제 적용 사례
파트 | 적용 방안 |
화재원인 분석 | 전기적 요인, 열적 요인, 가연물 누적 원인 분류 |
소방설비 평가 | 차량용 소화기 설계 기준, 배치 기준 설명 |
대응 체계 분석 | 대피 시나리오, 2차 사고 대응 절차 포함 |
유사사례 비교 | 리튬배터리 화재, 고속도로 차량 연소 사례 접목 |
🔚 마무리: 차량도 소방 대상입니다
자동차도 움직이는 기계이며, 고온과 가연물이 밀집된 상태에서는 언제든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특히 여름철에는 차량 스스로의 방열 기능이 한계에 도달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.
소방의 정석 블로그에서는 소방기술사 수험생뿐 아니라, 현장 실무자, 일반 운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을 매주 발행 중입니다.
✅ 오늘 소개한 내용을 반드시 숙지하시고, 차량화재 예방은 물론 비상 시 대처법까지 준비해 두시기 바랍니다.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 앞으로도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.